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이 세계 최고 수준인 가운데 국내 체류 외국인 결핵 환자마저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결핵협회는 혹시 모를 전파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불법 체류 외국인을 상대로 검진과 함께 치료비 지원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결핵은 2급 법정 전염병으로 기침, 발열과 같은 증상을 보여 감기와 헷갈리기 쉽습니다. <br /> <br />주로 기침이나 대화를 하다 튀는 침을 통해 옮기다 보니 빠르게 전염됩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지난 2022년 기준 OECD 국가 가운데 2위, 사망률은 4위로 결핵 후진국에 속합니다. <br /> <br />최근엔 외국인 결핵 환자마저 증가세로 바뀌었는데 내국인들의 발생률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당국의 고심이 깊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외국인 가운데 40여만 명으로 추정되는 불법 체류자들의 경우 감염 사실을 숨기다가 병을 키우고 전파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자체와 대한결핵협회가 이들을 상대로 무료 검진에 나서는 것도 이런 우려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나아가 결핵협회는 불법 체류 외국인들에게 최대 200만 원까지 치료비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신민석 / 대한결핵협회 회장 : 무자격 체류 외국인들은 잘 검진을 안 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 (이들이) 치료에서 실패했다거나 방치하면 우리 나라에 결핵이 만연되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내국인의 경우에도 치료를 충실히 받지 않아 결핵이 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완치를 위해서는 최대 2년 가까이 약을 먹어야 하는데, 상태가 호전됐다는 생각에 환자 스스로 약을 끊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세원 /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: 불완전한 치료가 계속되면 내성 결핵으로 재발한다거나 혹은 몇 달 지나고 나서 다시 결핵이 재발한다거나 그럴 위험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지금 전염되지 않는 잠복 결핵이 일반 결핵으로 변할 수 있는 만큼 어린이나 고령자를 상대하는 직업 종사자들은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주영 (kimjy081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70606391653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