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가 안정세에 7월 한은 '금리 인하' 가능성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준금리를 결정짓는 7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우리나라도 물가 하향 안정세가 뚜렷해지면서 금리 인하 시계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데요.<br /><br />김수빈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는 1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열립니다.<br /><br />시장에서는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하면서도, 인하에 대한 첫 시그널이 나올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 주요 인사들의 비둘기파적 발언으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한껏 높아진 상태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현지시간 2일 "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되돌리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뤄냈다"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통화정책의 준거 지표로 삼는 5월 개인소비지출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자 물가가 조금씩 잡혀가고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도 상황이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달 연속 2%대로 하향 안정 흐름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특히 6월 상승률인 2.4%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는 바운더리 안에 있는 수치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까지 감안하면, 다음달에도 금리 인하 여건이 충분하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연준의 인하 신호가 일단 7월에 나오고 나면 그쪽에 훨씬 더 예민하게 반응할 거라고 봅니다. 그래서 7월에 (금리 인하) 소수의견을 내고 8월에 금리 인하를 하는 거는 2019년 전례도 그렇고 최근 시장의 움직임도 그렇고…."<br /><br />주요 선진국들이 자국의 상황에 따라 통화정책을 차별화하는 점도 금리 인하에 힘을 싣는 상황.<br /><br />다만 만성적인 가계 부채 문제와 원달러 환율 상승 압박 등은 금리 인하에 여전히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수빈입니다. (soup@yna.co.kr)<br /><br />#한국은행 #금융통화위원회 #기준금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