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중, 인공지능 기술서 한일과 격차 벌려…中 "타국과 협력 용의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중이 사활을 건 인공지능 개발 경쟁에 나서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른 경쟁국과의 격차를 더 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최근 10년간 생성형 AI 분야에서 중국의 성장이 두드러졌는데, 중국은 AI분야에서 다른 나라와 협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테슬라의 2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'옵티머스'.<br /><br />이전 모델보다 신경망과 객체 인식 기능이 향상되면서 자유도가 높아졌는데, 최근 중국에서 첫 선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내년에는 천 대의 옵티머스 로봇이 사람을 대신해 테슬라 공장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역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픈소스가 적용된 '칭룽'부터 가정 도우미 역할을 할 수 있는 '헬시룽' 등 18개 인간형 로봇이 상하이 AI 컨퍼런스에서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10년 내 산업 분야와 의료 현장, 가정 등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<br /><br /> "정교한 가사 작업이나 산업 환경의 지능형 제조와 같은 작업에는 모든 것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대규모 모델 운영체제가 필요합니다."<br /><br />인공지능 기술력에서는 미국과 중국이 사활을 건 개발 경쟁을 벌이면서 다른 나라들과의 격차를 더 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74.71점으로 1위, 중국은 52.69로 2위인데, 2급 단계인 한국은 33.11점으로 6위 수준입니다.<br /><br />미·중 두 나라가 보유한 유니콘 기업과 대형 인공지능 모델 수는 전 세계 80%였고, 최근 10년간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 특허 출원 건수는 3만8천건으로 미국의 6배가 넘었습니다.<br /><br />특허 출원이 많은 상위 10위 기업 중 중국 업체가 6개나 차지했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에는 421개의 국가급 지능형 제조 실증 공장이 있으며 AI 기업의 수는 4,500개를 초과했습니다. 우리나라의 컴퓨팅 파워 규모는 세계 2위입니다."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중국은 AI가 인류 공통의 자산이라며 미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와 협력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올해 중국 제조를 강조하면서 인공지능 플러스 이니셔티브를 내세웠는데, 미국과의 격차를 줄이면서 AI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미중AI #로봇기술 #AI플러스이니셔티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