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젊은 층 사이에선 늙는 속도를 늦추는 이른바 '저속노화'를 위한 다소 밋밋한 식단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단짠' 열풍의 중심에 섰던 MZ 세대가 저자극 식단에 눈을 돌린 이유는 뭘까요? <br /> <br />송재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얼큰하고 매운 마라탕, 달콤 바삭한 탕후루 같은 '고자극' 음식 유행을 이끌었던 MZ 세대.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 SNS에서는 색깔부터 구성까지 심심하기 그지없는 식단을 소개하는 젊은 세대들이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당을 줄이고, 흰쌀과 밀가루 같은 정제 곡물을 피해 혈당 자극을 낮춘 결과, 스트레스 호르몬까지 억제하는 '저속노화' 식단이 대세로 떠오른 건데, <br /> <br />이를 다루는 브이로그, 유명 요리 유튜버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행을 이끈 건 '저속노화' 생활습관을 알리고 있는 한 내과 교수. <br /> <br />[정희원 / 서울아산병원 교수 : (저속노화가) 일종의 '밈'처럼 되고 또 사람들이 재미있게 따라 할 수 있는 그런 놀이가 된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정 교수가 만든 SNS 소통공간은 개설 하루 만에 가입자가 만 명을 넘어서, 어느덧 만7천 명 넘는 사람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자신만의 저속노화 식단을 '인증'하고, 조리법도 나누며 소통하는데, 게시물을 보면 젊은 층이 대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[김미정 / 서울 화곡동 : 확실히 활력이 좀 생기고요. 평소에 일할 때도 집중이 조금 더 잘 되고, 탄수화물 많이 먹어서 생기는 지루함, 머리가 뿌예지는 느낌도 적은 거 같아요.] <br /> <br />'도파민'이 익숙한 젊은 세대에서 이런 '노잼' 식단이 유행하게 된 이유로는 우선 건강에 대한 경각심이 꼽힙니다. <br /> <br />자극적인 배달 음식이나 한 끼 '떼우기'가 익숙했던 세대, <br /> <br />그 결과 10년 전보다 2030 당뇨병 진료환자는 74%, 고혈압 환자는 45% 늘었을 정도로 부모 세대보다 건강이 악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더 나아가, 세심히 고른 재료로 스스로를 위한 식단을 준비하는 '자기 돌봄' 과정에서, 지쳐있던 젊은 세대가 위로를 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정현정 / 서울 압구정동 : 내가 지금 나를 챙기고 있구나, 그래도 조금 막 살고 힘들게 살고 하다가도 그래도 내가 밥만큼은 참 잘 먹고 있구나….] <br /> <br />[정희원 / 서울아산병원 교수 : 물론 사회가 나를 스트레스를 받게 만들어서 내 생활 습관이 나빠지는 면도 있지만, 반대로 내가 생활 습관이 조금 더 좋아지면 (그런 노력이 모여서) 사회 전체의 스트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송재인 (songji1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72102065314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