커지는 퇴직연금 시장…장기 수익률 개선은 과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퇴직연금 시장이 각광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물이전제도 도입을 앞두고 금융권에선 고객 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장기 수익률 제고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 2분기 4대 시중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약 142조.<br /><br />1년 전과 비교해 20조원 넘게 늘며 역대 최대 증가액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적립금 규모는 신한은행이 42조원으로 가장 많았고, 국민, 하나은행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은행간 경쟁에 불이 붙었습니다.<br /><br />은행들은 시장 선점을 위해 ETF 상품 수 확대, 개인 맞춤형 퇴직연금 관리 서비스 개발 뿐 아니라 퇴직연금을 위한 테스크포스를 신설한 곳도 생겼습니다.<br /><br />오는 10월 '퇴직연금 현물이전 제도'가 시행되면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이 제도로 퇴직연금 가입자는 계좌를 해지해 현금화하지 않고도 수익률이 높은 상품을 운용하는 금융사로 갈아탈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은행 뿐 아니라 증권, 보험까지 감안하면 400조원에 육박하는 돈이 움직일 수 있는 셈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장기 퇴직연금 수익률은 여전히 밑바닥에 머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년 전 도입된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이 원리금을 보장하는 초저위험 상품에 쏠려 구조적 개선을 이루지 못 했기 때문인데, 이에 정부가 다시 손질에 나설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 "약간의 리스크는 감안하더라도 장기적으로 기대 수익률이 높아지는 쪽으로 가야 연금 투자의 기본이구요. 지금 원리금 보장하는 상품에 넣고 국내 금리가 낮아지면 수익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…."<br /><br />높은 수익률 실현을 위해선, 연금 투자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해외 시장을 포함한 다양한 포트폴리오 확충이 선결적 과제로 남아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 (jin@yna.co.kr)<br /><br />#퇴직연금 #현물이전제도 #디폴트옵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