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는 9월 미국의 금리 인하가 가시권에 들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내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게 각종 지표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인데, 이번 주 내내 출렁였던 증시도 금리 인하 기대감에 일제히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에서 사람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살 때 내는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가 개인소비지출, PCE 가격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상무부는 지난 6월 이 지수가 한 해 전 같은 기간보다 2.5%, 한 달 전보다는 0.1% 올랐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 2.5%에서 3월과 4월 2.7%로 뛰었다가 5월 이후 상승률이 차츰 둔화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발표된 6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역시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분기 각종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 밖으로 올라가자 미국 금융권에서는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주목하는 핵심 지표들이 잇따라 물가 상승세 둔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오는 9월 미 연준의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짐 불라드 / 퍼듀 경영대학원 학장 : 지금 미국 경제는 연착륙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 노동시장이 정상화되고 인플레이션은 완전한 목표 달성은 아니지만 낮아졌습니다. 이제 정책 금리도 더 정상적인 수준으로 내려가기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"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진정한 진전을 거두고 있다"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플레 우려를 상당 부분 덜어낸 만큼 일부 전문가들은 연준이 이달 조기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 큰 폭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혼조세를 보인 미국 증시는 금리 인하가 한층 가까워지면서 일제히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경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윤용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경아 (ka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72709082009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