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도광산 조선인 노동자 전시관 오늘부터 일반 공개 <br />사도섬 안내 책자에도 조선인 노동자 흔적 소개 <br />"조선인, 일본인보다 더 위험한 환경에 투입" <br />조선인 강제노동 희생자 추도식도 매년 실시<br /><br /> <br />일본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가 확정되면서 이제 시선은 일본이 조선인 강제동원의 역사를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느냐에 쏠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일본은 조선인 노동자들의 흔적을 새롭게 전시한 공간을 오늘부터 일반에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을 직접 연결해보겠습니다. 김세호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일본 사도시 아이카와 향토 박물관 앞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의 현장인 사도광산이 논란 속에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됐는데, <br /> <br />오늘 일반에 공개하는 박물관에 설치되는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물과 관련 의미에 대해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이곳 전시 시설은 사도 광산에서 2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부터 일반에 공개되는 박물관 내에는 사도광산에서의 조선인 노동자의 존재와 가혹한 노동조건을 보여주는 전시관이 마련됩니다. <br /> <br />또 현재 공터로 방치된 조선인 노동자 기숙사 터에도 안내판이 설치되고, <br /> <br />사도섬 방문객을 위한 안내 브로슈어에도 조선인 노동자들의 흔적이 남은 주요 장소들을 표기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부는 사도광산의 조선인 노동자를 포함한 전체 역사를 현장에 종합적으로 반영한다는 데 일본이 동의했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사도광산에서 노동자를 모집·알선하는 과정에서 조선인이 일본인에 비해 더 위험한 환경에 투입됐다는 내용 등이 구체적으로 반영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추도식도 매년 실시하기로 했는데요, <br /> <br />외교부 당국자는 니가타현, 사도시 등 지자체 뿐 아니라, 중앙부처에서도 참석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하지만 군함도 등재 당시 일본이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전력이 있는 데 여전히 의심의 눈초리가 남아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 정부는 사도광산 등재에 대한 한일 간 합의에 대해 군함도 때와는 다르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단순한 약속에 그친 것이 아니라 전시 시설 같은 실질적 조치도 이끌어 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외교부 당국자는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, 이코모스로부터 유리한 권고를 받아 일본의 실질적 이행까지 많은 대화와 합의점을 찾은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72816081593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