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처 부위 염증 심해지면 알칼리성 부산물 생성 <br />실 같은 형태의 pH 센서 개발…의료용 실에 감싸 <br />pH 수치 커지면 악화…작아지면 아물었다는 의미 <br />기존 봉합사에 염증 상태 모니터링 기능 추가 <br />몸에 녹는 생분해성 전자 봉합사 업그레이드 계획<br />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상처를 꿰맬 뿐만 아니라, 상처 부위의 염증 정도까지 측정할 수 있는 똑똑한 봉합사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상처 부위의 염증이 심할수록 pH 레벨이 커지는데, 이점에 착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실험용 생쥐 등에 난 상처를 의료용 실로 꿰맵니다. <br /> <br />단순한 의료용 실처럼 보이지만, 사실은 상처 부위의 염증 정도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통 상처의 염증이 심해지면 미생물의 활동으로 알칼리성 부산물이 생성됩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상처 부위의 pH 수치가 커집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이 점에 착안해 실 같은 형태의 pH 센서를 개발하고 이를 의료용 실에 감싸는 방식으로 전자 봉합사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이 개발한 전자 봉합사입니다. <br /> <br />pH 센서 안에는 폴리아닐린이라는 물질이 포함됐는데, 폴리아닐린은 주변의 pH가 변하면 전기적 특성이 변합니다. <br /> <br />pH 수치가 커지면 상처가 악화했다는 의미고, 반대로 작아지면 아물었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개발한 전자봉합사는 상처를 꿰매는 역할에 그쳤던 기존 봉합사에서 한발 나아가 염증 상태까지 알려줘 의료 현장에서 더 효과적으로 상처를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[이재홍 /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: 기존의 의료 봉합사가 적용되는 부분 주로 상처죠. 상처에는 다양한 생체 신호가 있고 우리가 측정해야 하는 중요한 바이오 마커들이 존재하는데 그런 것들을 의료 봉합사의 역할을 하면서도 센서의 역할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진은 후속 연구를 통해 꿰맨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몸속에서 자연스럽게 녹아 없어지는 생분해성 전자 봉합사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성규 (sklee9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080813302165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