’전기차 공포’ 확산…지하 출입 금지 움직임 <br />정부, 관계부처 합동 긴급회의…대책 마련에 속도 <br />화재 원인으로 꼽히는 ’과충전’ 막는 방안 논의 <br />충전율 제한 시 주행거리 줄어 전기차주 반발 예상<br /><br /> <br />최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'전기차 공포'가 확산하자 정부가 연이틀 회의를 열며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 초 종합 대책을 발표할 예정인데, 얼마나 실효성 있는 대책이 담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일, 인천에서 전기차 화재가 나 차량 80여 대가 불타고 700여 대가 그을리는 등 그야말로 아파트 전체가 쑥대밭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전기차 공포가 확산하고 지하에 전기차 출입 자체를 막는 움직임도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정부는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겠다며 인천 전기차 화재 발생 이후 11일 만에 관계 부처 합동으로 긴급회의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정부는 전기차 화재의 주된 원인으로 꼽히는 '과충전'을 막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00% 완충 전기차는 화재 발생 시 파급력이 강한데, 충전율과 충전시간을 제한하고, 과충전을 막는 장치 부착을 확대하는 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충전기 자체에 과충전을 막는 전력선통신 모뎀을 설치하는 방안도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 충전율을 제한하면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도 줄어 전기차주들의 반발도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또 지하 주차장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만큼 지상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를 유도하는 것도 논의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상 설치를 강제할 수 없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 등이 대책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최근 지어진 아파트는 지상으로 차가 못 다니게 만들어진 곳이 많은 만큼, 지하 주차장의 스프링클러 설치를 촘촘하게 하고 화재 민감도를 높이는 방안도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 제조사 공개 여부 역시 논의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유럽 연합 등은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소비자에게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 의무화를 예고했는데, 우리도 전기차 제원 안내에 배터리 제조사를 반드시 넣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상우 / 국토교통부 장관 (지난 8일) : 전기차의 배터리의 제조사를 표기하느냐 안 하느냐 하는 문제도 9월 초에 발표될 종합대책에 넣어서 함께 다른 부분하고 같이 조화를 맞춰서 그렇게 발표하도록 하겠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백종규 (jongkyu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81218004794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