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의 권고에 따라 어제(16일)까지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전기차 가운데, 캐딜락을 제외한 20개 브랜드의 배터리 제조사가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마지막까지 버티던 테슬라마저 콧대가 꺾였습니다. <br /> <br />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날 '안전 우선 설계'를 했다고 배짱을 부리며 배터리 제조사 공개를 미뤘던 테슬라가 결국 백기를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권고는 물론, 소비자 불만이 커지자, 하루 만에 무릎을 꿇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에 판매된 테슬라 전기차에는 한중일 배터리가 모두 혼용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테슬라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국내외 완성차 업체 거의 대부분이 국토교통부를 통해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산 브랜드 5곳에선 대부분 K-배터리를 장착했고, 일부 차종과 KG모빌리티에서만 중국산 CATL과 BYD 배터리가 사용됐습니다. <br /> <br />수입차 브랜드에서도 아우디, 볼보, 포르쉐 등 한국 배터리를 쓰는 경우가 많았지만, 메르세데스-벤츠와 푸조 등은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여전히 배터리 공개를 미루고 있는 캐딜락 측은, YTN과 통화에서 GM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사에서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면서도, 정보 공개에 대해선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여기에 더해 배터리 실명제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추가로 검토해, 다음 달 초 종합 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박상우 / 국토교통부 장관(지난 8일) : 빠르면 9월 초 정도에 발표 예정인데요. 전기차의 배터리의 제조사를 표기하느냐 안 하느냐 하는 문제도 9월 초에 발표될 종합대책에 넣어서….] <br /> <br />정부의 압박 속에 완성차 업계가 두 손을 들었지만, 여전히 전기차 화재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방안이 마련된 건 아니라서,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박기완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한수민 <br /> <br />디자인;오재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기완 (j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81700034912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