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때 고급 벼 품종으로 여겨졌던 '고시히카리'나 '아키바레' 같은 외래 벼 품종의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생산성과 품질이 뛰어난 국산 품종이 속속 개발돼, 외래 벼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도정 작업을 마친 쌀이 포대에 담겨 차곡차곡 쌓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최고 쌀 브랜드로 평가받는 임금님표 이천 쌀로, 전량 미국 수출 물량입니다. <br /> <br />사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이천에선 대부분 일본 벼 품종인 '고시히카리'와 '아키바레'를 재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2016년 농촌진흥청 주도 아래 소비자와 지자체, 농업인, 육종가가 함께 참여하는 '벼 육종 프로그램'(SPP)으로 전기를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외래 품종의 약점이던 쓰러짐과 병충해 문제를 해결하고 밥맛을 크게 개선한 순수 국산 품종 '해들'과 '알찬미'를 개발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이희범 / 해들·알찬미 재배 농민 : 소비자가 밥맛이 좋으니까 갖다 잡수면 이런 쌀이 어디 있느냐 그런 쪽으로 얘기를 해서 아주 저는 해들, 알찬미를 잘 선택했다고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농가 소득도 아키바레 때보다 알찬미를 재배했을 때 헥타르당 3백만 원 정도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천의 지역 맞춤형 품종 개발이 성과를 내자 김포, 강화, 포천, 청주 등지에서도 국산 품종이 외래 품종을 빠르게 대체했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 8만2천 헥타르였던 외래 벼 재배 면적은 올해 2만8천 헥타르로 67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[현웅조 / 농촌진흥청 연구관 중부작물과 연구관 : 이런 신품종들이 각 지역의 브랜드를 갖다가 강화를 시킴으로써 우리 소비자분들은 더욱더 안전한 먹거리들을 즐기실 수 있고요.] <br /> <br />농촌진흥청은 외래 벼 재배 면적을 2027년까지 만 헥타르 이하로 줄인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명신입니다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81706195601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