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'에너지의 날'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올여름은 견디기 힘들 정도의 폭염이 이어지면서 최대 전력수요 기록이 이달 들어서만 무려 6번이나 경신됐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 위기가 심각하다는 걸 알면서도, 너무 더워 냉방을 멈출 수도 없는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서울시가 친환경 에너지로 지열 활용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각종 농수산물을 파는 서울 가락몰. <br /> <br />무더운 바깥과 달리 내부는 시원한데, 전체 냉방의 1/4은 지열 에너지가 담당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열 냉난방은 물관과 완충제로 쌓인 파이프를 땅속 200m까지 박은 뒤 물을 순환시켜 작동합니다. <br /> <br />물이 지열 덕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여름엔 뜨거운 공기를 식히고, 겨울엔 찬 공기를 덥혀주는 겁니다. <br /> <br />냉난방 비용이 30% 정도 줄고 탄소도 없는 데다 날씨의 영향도 받지 않아서, <br /> <br />다음 달 준공하는 채소동은 아예 일반 에어컨 없이 100% 지열 냉난방만 사용합니다. <br /> <br />[오형석 /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시설운영팀 부장 : 비용이 한 달에 2,500만 원 정도, 전기 사용량이 절감이 되고요, 외부에 있는 (일반 에어컨) 실외기 같은 경우는 열 때문에 고장이 나는 경우가 많이 있었는데, 지열은 땅속에 있어서 그런 부분이 없고 해서….] <br /> <br />서울시는 이런 지열 냉난방을 대형 상업용 건축물부터 확대해 나갑니다. <br /> <br />기후 위기로 인한 폭염에 전력 사용량이 이달에만 6번이나 경신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서 <br /> <br />비주거 건축물들이 쓰는 막대한 냉난방 에너지를, 탄소 없는 친환경 재생 열로 대체하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주영 / 서울시 친환경건축과장 : 서울 같은 경우에도 건물 에너지에서 소비량이 약 59%가 지금 냉난방용으로 지금 사용되고 있거든요. 그 부분에 대한 화석연료를 줄이기 위한 에너지, 재생열 에너지 확대 정책이 필요하고….] <br /> <br />시는 내년부터 짓는 연 면적 3만㎡ 이상 비거주 건축물은 재생 열 에너지 설비를 의무 설치하게 하고, <br /> <br />건물별이 아닌, 지역 단위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기 위한 서울형 모델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홍성노 <br />영상편집 : 이자은 <br />디자인 : 이나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82215281544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