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한 데 대해 대통령실이 내수 진작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다는 입장을 냈습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 결정에 이례적으로 목소리를 낸 건데, 정부는 내수 부진이 그만큼 심각하다고 보고 다음 주 소비 진작 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 대통령실이 이례적으로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 결정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고유 권한이라면서도 내수 진작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다고 말한 겁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최근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소비를 살리려면 금리가 내려갔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추석 명절을 앞두고 정부가 다음 주에 소비 진작 대책을 발표할 예정인데, 금리 인하가 이뤄졌다면 효과가 더 극대화됐을 거란 취지입니다. <br /> <br />한은도 내수 회복세가 더디다는 점은 인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집값과 가계부채 우려에 더 방점을 찍고 금리를 동결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 :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성장 모멘텀이 약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금리 인하가 부동산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할 위험이 더 크다고….] <br /> <br />이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국내총생산, 즉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계속 줄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지난해 말 기준 가계부채비율은 93.6%로, 2021년부터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또 부동산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는 만큼 지금은 소비 진작이 더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할 때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은 금리 결정이 이뤄진 뒤에 입장을 밝힌 데다, 다음 달 미국이 금리를 내리고 그에 따라 우리도 10월에 금리를 인하할 게 유력한 만큼 이번 입장 표명이 금통위에 대한 압력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최영욱 정태우 <br />영상편집 : 김지연 <br />디자인 : 이나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82222053441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