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처럼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민생 법안들을 합의 처리했지만, 갈등의 불씨는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'25만 원법'같은 쟁점 법안은 다음 달 재표결이 이뤄질 전망인데, 양당은 벌써부터 공개 설전으로 기 싸움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김다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본회의에 앞서 열린 여야 원내대표 회동. <br /> <br />모처럼 틔운 협치 분위기 속에서도 양당은 상호 견제구를 잊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대통령이 재의요구권, 그러니까 거부권을 행사한 '1인당 25만 원 법'을 두고 공개 설전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은 내수 경제 회복을 위한 '25만 원 법'은 국민이 체감하는 좋은 정책인데 여당인 국민의힘이 무조건 반대하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찬대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: 국민의 삶을 책임져야 할 집권 여당이기 때문에 민생회복 지원금을 무조건 반대만 하지 마시고 민생 회복을 위해 동참해주셨으면 좋겠다, 당부드립니다.] <br /> <br />이에 여당은 민생 지원으로 포장된 '현금살포법'일뿐이라며 청년에게 막대한 빚만 남기는 실효성 없는 법안이라고 맞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추경호 / 국민의힘 원내대표 : 약효가 없는 그런 현금 살포 같은 발상은 조금 거두어주시고 실질적인 민생 지원을 위한, 취약계층을 보듬는 그런 정책 논의가 되길 기대합니다.]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 거부권 행사로 국회로 넘어온 법안은 25만 원법을 포함해 노란봉투법과 공영방송 지배구조 재편을 위한 방송 관련 법안 4개까지 모두 6개입니다. <br /> <br />여야는 일단 다음 달 26일 본회의에서 한꺼번에 재표결하기로 합의했는데, 우원식 국회의장은 방송법을 두고 재차 중재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여당은 '공영방송 이사진 선임 일정 중단' 같은 구체적 요구는 반대했지만, 범국민협의체에는 긍정적이었기 때문에 논의의 장을 열어보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우원식 / 국회의장 (MBC 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 : 정부·여당이 '참여하겠다' 이걸 먼저 해야 합니다. 깃발을 들고 이렇게 모여서 '한번 얘기해 보자' 하는 역할은 제가 해볼 의향이 있고요, 필요하다면.] <br /> <br />22대 국회가 모처럼 휴전 상태로 들어간 듯하지만, 곳곳에 갈등 요소도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여전히 뇌관은 이미 두 차례 거부권이 행사된 채 상병 특검법인데, 한동훈 대표가 띄운 '제3자 추천 방식의 특검'을 두고 여야는 서로 먼저 발의하라며 기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당이 밀고 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다연 (kimdy081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82818452792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