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창경바리 어업', 들어보셨나요? <br /> <br />유리창이 달린 사각형 도구를 이용해 바닷속 해산물을 채취하는 전통 어업인데요. <br /> <br />어업 기술 발달과 어촌 고령화로 이 오랜 전통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강릉시가 국가 유산 등록 추진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어선에서 어민이 사각형 통에 얼굴을 묻고 바닷속을 살핍니다. <br /> <br />통 바닥은 투명한 유리로 만들어져 바닷속 3∼4m 아래까지 훤히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찾은 미역과 성게 등 해산물을 긴 갈고리나 뜰채로 건져 올립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창경바리' 전통 어업입니다. <br /> <br />물속을 들여다볼 때 쓰는 어구인 '창경'입니다. 주로 오동나무로 만들어 가볍고 물에도 잘 뜹니다. <br /> <br />'창경바리' 관련 기록은 조선 후기 문헌에서도 등장합니다. <br /> <br />당시 어민들은 생선 기름을 수면에 뿌려 바닷속을 들여다보며 해산물을 채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1950년대 유리가 보급되면서 생선 기름 대신 '창경'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때 널리 쓰였지만, 어업 기술 발달과 어촌 고령화로 현재는 강릉에서 어민 14명만이 이 전통을 힘겹게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상록 / 강릉 창경바리 어민 : 다 나이 80살 됐고 심지어 86살 된 분도 하고 있습니다. 젊은이들은 배우려고 하지 않아요.] <br /> <br />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한 '창경바리' 어업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강릉시는 '국가 중요 어업 유산' 지정을 신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이 세 번째 도전입니다. <br /> <br />[김병국 / 강릉시 해양수산과 수산정책담당 : 이 형태의 유산이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. 그래서 이 부분을 잘 보존하고 계승할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하기 위해서 최대한 노력할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심사와 평가를 통해 최종 결과는 10월쯤 발표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지정되면 3년간 7억 원의 예산이 지원돼 전승 교육과 체험 관광 개발 등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김동철 <br />화면제공: 강릉시청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송세혁 (shso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90115231919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