응급 의료 인력 부족 문제가 커지자 정부가 의료기관에 군의관 15명을 파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군의관들의 업무 범위 등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아 실제 의료 현장에 투입되기까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기수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세종의 유일한 지역 응급의료센터를 운영 중인 세종 충남대병원. <br /> <br />이곳 응급의료센터는 전문의 12명이 상주하면서 24시간 운영돼 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달 전문의 1명이 빠지면서 매주 목요일 야간 성인 응급 진료가 중단된 데 이어 <br /> <br />이달부터는 전문의 4명이 추가로 사직하면서 평일 야간 성인 응급의료가 완전히 멈춰 섰습니다. <br /> <br />야간에 응급 상황이 생기면 대전이나 청주, 천안 등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상황. <br /> <br />[조생구 / 환자 보호자 : 너무너무 걱정되죠. 국민 다 죽으라는 것 같아요. 나는 진짜. 갑자기 아프면 어디가 그냥 죽어야죠.] <br /> <br />이런 응급 의료 공백 우려가 전국 곳곳에서 벌어지자, 정부가 세종 충남대병원과 강원대병원, 충북대병원 등에 군의관 15명을 투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세종 충남대병원에는 군의관 2명이 파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모두 응급의학 전문의로 응급실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투입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, 응급 의료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응급실에 투입된 군의관들은 어느 수준까지 진료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한 뒤 업무를 배정받을 것으로 보이는데, <br /> <br />병원 측은 실제 진료에 들어가기까진 며칠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, 지금까지 빠져나간 전문의 인력보다 투입된 군의관 수가 적어 완전히 정상화되기도 힘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응급실 단축 운영으로 군의관 5명이 투입된 강원대병원 역시 교육과 업무 범위 설정 등에 시간이 필요해 당장 의료 현장 투입은 어려운 상황. <br /> <br />충북대병원도 이번에 투입된 군의관 2명에 대한 교육을 우선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오는 9일까지 군의관과 공중보건의 230여 명을 의료기관에 추가 파견할 계획이지만, 응급 의료 공백을 메울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기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고민철 권민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기수 (energywater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90416553974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