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정부가 사전에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제가 앞당겨 시행되고 대국민 배터리 정보공개가 의무화됩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와 관련된 화재 우려가 커짐에 따라, 정부가 안전관리대책을 마련했는데요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 이종원 기자! <br /> <br />일단 배터리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담겼는데, 어떤 대책이 포함됐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지난달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 이후 정부가 한 달여간 전기차 안전 대책을 논의한 끝에 오늘 내용이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전기차 안전관리대책을 조금 전 발표했는데요. <br /> <br />내용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 등 전기차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, 또 지하주차장 등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화재 대응능력을 키우는 방안이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관계장관회의에서 나온 한덕수 국무총리의 모두발언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한덕수 / 국무총리 :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시설 안전성을 확보하겠습니다. 앞으로 정부가 배터리 안전성을 사전에 인증하고, 배터리 제조사와 제작기술 등 주요정보 공개를 의무화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들으신 대로, 전기차를 제작할 때 정부가 배터리 안전성을 사전에 인증하는, 배터리 인증제가 앞당겨 시행되는 데요. <br /> <br />애초 내년 2월 국내외 제작사를 대상으로 시행할 예정이었는데 다음 달부터 시범사업에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또 배터리 제작사와 제작기술 등 주요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하기로 했는데, 기존 배터리용량과 정격전압, 최고 출력뿐 아니라, 셀 제조사와 형태, 주요 원료 등도 공개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, 전기차 제작사와 충전사업자의 책임보험 가입을 확대해 전기차 화재로 인한 소비자 보호 조치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 안전을 실시간 진단하는 시스템인 BMS 기능을 개선해 사용을 활성화하고 충전량을 제어할 수 있는 '스마트 제어 충전기' 보급을 확대하는 방안도 대책에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장비 확충이나 전고체 배터리 기술개발에 나서고, 또 신축 건물 지하주차장에 감지와 작동이 빠른 습식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도록 했는데, 전기차 충전시설 위치 변경 방안은 추가 검토를 거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관련 법령과 제도 개선을 조속히 추진하고 추가로 필요한 사항은 관련 TF에서 올해 말까지 논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종원 (jongw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90612093223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