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협 관계자 "정부 말 바꾸기…전공의 참여 미지수" <br />의료계, 대법원에 의대증원 집행정지 탄원서 제출 <br />의료계 "대법원 효력 정지 인용할 의무 있어"<br /><br /> <br />입장을 내지 않으면 2026년 이후 증원문제에 대한 협상도 없다는 정부의 압박에 의료계도 전면 백지화를 강조하며 맞섰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이 양보는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협상 테이블이 차려질 수 있을지조차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염혜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논의할 수 있는 건 2026학년도 이후의 의대 증원이다' <br /> <br />정부의 분명한 선 긋기에 의료계도 한 치의 물러섬이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의사협회는 내년도 의대 정원 논의를 다시 하지 못하는 이유와 근거를 대라고 맞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이 '여야의정협의체' 제안 이전의 주장을 되풀이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협상 참여를 촉구하고 있지만, 의료계 반응은 냉담합니다. <br /> <br />의협 관계자는 정부가 손바닥 뒤집듯이 말을 바꾸고 있는데 전공의들이 협상에 참여하겠느냐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공의들은 의대 증원 전면 백지화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박재일 / 서울대병원 전공의 대표(지난 5일) : 정부는 의료 왜곡의 본질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 채 그릇된 의료 정책을 강행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오는 9일부터 시작되는 수시모집을 앞두고 의료계는 대법원에 탄원서도 제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의대생들 만3천 명이 낸 의대 증원 집행정지에 대한 판단을 빨리 해달라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이형민 대한응급의학 의사회장과 방재승 전 서울대의대 비대위원장 등 교수단, 전국 8개 시·도의사회 회장단이 참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탄원서에서 대법원만이 의료와 교육붕괴를 막을 수 있다며 의대 증원 효력 정지를 인용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계는 또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와 함께 보건복지부 장·차관 그리고 장상윤 사회수석의 파면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염혜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염혜원 (hye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0720515258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