응급실에 배치된 군의관들이 근무를 사실상 거부하면서 정부가 징계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일(9일)부터 추가 배치될 군의관 235명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어떤 결론을 내릴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는 응급실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의료기관을 지원하겠다며 군의관들을 동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5개 병원에 15명이 우선 배치됐지만, 정부 기대와 달리 상당수가 응급실 근무에 난색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일부 병원은 응급실 근무에 적합하지 않다며 돌려보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윤순 /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(지난 5일) : 상황과 또 군의관 이해가 좀 달라서 업무 조정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그런 사례들도 지금 계속 보고가 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복지부는 파견 군의관들이 근무지 배치 명령을 받은 군인인 만큼 임무를 따르도록 설득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한때 이들에 대한 징계 여부도 국방부와 협의하겠다고 언론에 공지했지만, 바로 번복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뜩이나 의료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징계를 할 수도 없고, 안 할 수도 없는 고심이 드러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군의관들이 공식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근무하지 않은 만큼 명령을 거부한 대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만약 응급실에서 근무할 상황이 아니었다는 군의관들의 주장을 받아들여도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현장 상황과 군의관들의 조건을 세심히 살피지 않은 채 파견 인원 채우기에 급급했다는 비판이 불가피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복지부는 군의관 235명을 추가로 배치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65개 기관으로부터 대체인력의 과실로 배상책임이 발생했을 경우 의료기관이 책임진다는 배상책임 동의서를 받았다며 파견인력 달래기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또 병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배상책임 단체보험에도 가입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고민철 <br /> <br />영상편집;윤용준 <br /> <br />디자인;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주영 (kimjy081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0818013029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