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닷물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제주 해역은 양식장 어류 폐사 등의 피해가 역대 최대 규모로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마다 고수온 피해가 나고 피해 집중 지역도 어느 정도 예상되지만, 대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허은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닷물 수온이 28도 이상 높게 나타나는 고수온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양식장에서의 피해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일 기준으로 도내 양식장에서 약 111만 마리, 838톤의 광어가 폐사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가장 많은 규모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현재까지의 피해액은 27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, 이는 관련 피해가 처음 접수된 지난 2020년 1억 7천여만 원보다 15배 높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이같이 고수온 현상이 해마다 나타나고 있고 관련 피해도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, 제주도의 대책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도의회에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양홍식 / 제주도의원 : 고수온이 지속적으로 발생을 하고 있어서 특히 서부 지역에 있는 양식장들이 상당한 피해를 보고 있는데 우리가 지원을 하는 거 보면 반복적인 겁니다. 대책을 마련해야 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지역별로는 대정읍과 한경면 등 서부 지역이 고수온 피해의 85%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부 지역의 경우 비교적 낮은 수온의 염지하수가 없는 지하수특별관리구역이다 보니 다른 지역에 비해 피해가 집중되고 있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충분히 피해가 예상됐지만, 양식장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액화산소 공급기 배치 등 사전 대처는 다소 부족했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[한 권 / 제주도의원 : 사후약방문식이 돼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. 그렇기 때문에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피해가 예상되는 양식장에 대한 액화 산소 공급기를 사전 배치하는 방안을 재정적으로든 제도적으로든 좀 더 철저하게 강구해서….] <br /> <br />불가항력적인 기후 변화로 고수온 피해가 반복되고 증가하면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뉴스 허은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좌상은 <br />그래픽 : 이아민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허은진 kctv (kimmj02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91700291984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