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차 화재에 대한 우려가 잦아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불이 날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꿈의 배터리, 전고체 배터리 개발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이르면 오는 2027년 본격적인 양산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, 기업들은 양산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액체 전해질 대신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에 딱딱한 고체 전해질을 넣어 배터리 구조를 완성합니다. <br /> <br />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'전고체 배터리'를 연구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재와 음극재, 액체 전해질, 그리고 분리막으로 구성됩니다. <br /> <br />만약 분리막이 손상돼 양극재와 음극재가 맞닥뜨리게 되면 고온의 '열 폭주'가 일어나게 됩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전자가 오갈 수 있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다면, 분리막 자체가 필요 없고 음극과 양극이 부딪칠 가능성도 차단돼, 화재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 큰 에너지 밀도를 확보하면서 용량도 더 늘어나게 됩니다. <br /> <br />[하윤철 / 한국전기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 : 전고체 전지는 기본적으로 화재에 대해서는 확실히 막을 수 있습니다. 의료나 국방이나 이런 분야에 정말 중요한, 안전한 전지로 쓰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저마다 '전고체'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뒤늦게 전기차를 내놓은 도요타는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로 역전을 꾀하고 있고, 선두주자로 올라선 중국은 이미 반고체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를 출시하며 기술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-배터리 3사는 오는 2027년, 늦어도 2030년까지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현대차는 올해 말까지 관련 연구시설을 건설해 직접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재훈 / 현대자동차 대표이사(지난달) : 단계별로 가장 안전한 배터리, 그리고 이 부분에서 고객의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부분은 저희가 투자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시장에 소개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일부 소재 부분에서는 가시화된 성과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배터리 소재업체들은 고체 전해질 소재를 속속 개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높은 가격과 액체에 비해 낮은 전도성 등은 전고체 배터리 양산 이전에 풀어야 할 큰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수요 둔화에 이어 화재로 인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기완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91811141848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