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미 금리 인하 7번 중 3번 경기침체...이번엔? / YTN

2024-09-20 20 Dailymotion

미국의 전격적인 0.5%p 금리인하, 이른바 빅컷이 경기 침체를 우려해서인지, 막기 위해서인지 혼란스럽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과거 7번의 금리 인하 가운데 최근 3번은 금리인하 직후 경기 침체가 온 점도 논란을 부추기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?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80년대 이후 미국은 크게 7번 금리를 내리며 돈을 풀었습니다. <br /> <br />90년대 후반까지는 그 결과 경기가 연착륙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2001년 닷컴 버블 붕괴 때, 2007년 부동산 거품 붕괴 때, 2019년 물가 때문에 내렸을 때는 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침체로 빠지고 말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 부채가 많아 통화 정책의 효과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고, 코로나 19처럼 예측 불가능한 변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대부분 현재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다. <br /> <br />미국 GDP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가 견조하고, 기업 실적도 나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0.5%P, 이른바 빅컷은 높아지고 있는 실업률을 연준 기준선인 4.2% 이하로 묶어두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박석현:우리은행 애널리스트 : 지금까지 발표된 경제지표만으로는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것은 기우일 수가 있겠습니다. 다만 (미국 실업률이 지난해 저점 3.4%에서 올해 4% 이상으로 높아지면서 상승 국면으로 진입했고요.) 과거 미국 경제 50년 사이클에서 경기 하락과 실업률 상승 국면에서 경기침체를 피했던 경우가 단 한 차례도 없었기 때문에 경기침체 우려를 지금 현시점에서 기우로만 여겨서는 안 되고요.] <br /> <br />관심은 우리 금리 인하 시점에 모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을 보면 10월 인하 톤으로 의견을 낸 금통위원은 2명 정도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가계대출 급등세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내수 지표 모두가 부진한 데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하로 환율이 빠르게 하락하면 상반기 기준 전체 수출의 19%를 차지하는 대미 수출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있어 조기 인하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석병훈 /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: 통화정책의 시차는 1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. 이 말은 10월 달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해도 국민들이 내년 10월에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. 그렇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기준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추석과 다음 달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92104572265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