폭우가 그치자 갑작스레 기온이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가을이 찾아왔다는 이야기도 있지만, <br /> <br />'기상학적'으로는 가을이 아니라는 분석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그 이유는 무엇일까요?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시기상으로 보면, 어제는 가을의 다섯 번째 절기에 해당하는 '추분'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는 특성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에는 추분을 기점으로 온도가 뚝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27도 정도였는데, 지난주 최고 33.6도까지 치솟았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7도나 떨어진 셈이죠. <br /> <br />이렇게 날씨가 급변한 건 한반도 상공을 뒤덮고 있던 <br /> <br />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약화하면서, <br /> <br />9월 늦더위의 원인이 됐던 '이중 열 커튼'이 사라졌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그래서인지 '처서 마법'이 아닌 '추분 마법'이란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승배 / 한국자연재난협회 본부장(어제, YTN24) : 태풍이 우리나라 쪽으로 접근을 못 하게 한 그런 고기압이 버티고 있었는데, 그동안 내려오지 못했던 북쪽의 찬 공기가 내려오면서 이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 세력 다툼이 벌어졌고… 낮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태양에서 오는 에너지가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공기가 서서의 식기 시작하는 것이죠.] <br /> <br />그러면 이젠 '가을이 왔다'라고 말해도 되는 걸까요? <br /> <br />아직은 이르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기상학적으로 가을은 '일 평균 기온이 20도 미만으로 내려간 뒤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'부터 시작하는데요. <br /> <br />기상청이 하루에 기온을 8번 관측하는데, 이렇게 측정된 평균이 20도 아래로 내려가야 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특히, 하루 평균기온이 20도 아래로 떨어졌어도, 다음 날 다시 20도를 넘어선다면 '기상학적'으로 가을이 시작됐다고 볼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의 중기예보(09월 26일 ~ 10월 03일)를 보면 이번 주 전국 예상 최저·최고 기온은 아침 13~23도, 낮 21~30도인데요. <br /> <br />서울은 25일부터 낮 기온이 29도로 오르면서 평년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거란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가을이 성큼 다가왔다고 생각했지만, 아직까진 '기상학적'으론 여름인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기상학적 가을은 10월 첫째 주나 둘째 주쯤 시작될 거란 예상이 나오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기상청은 다음 주 평균기온(16.4~17.6도)과 그 다음 주 평균기온(15.1~16.3도)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을 60%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'진짜' 가을을 만끽하려면 조금 더 기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자양 (kimjy020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92307523562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