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달 들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크게 꺾였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집값 상승폭도 2주 연속 줄었는데 상승세 둔화 현상이 뚜렷해졌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시 부동산 정보광장에 집계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천여 건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한 달 정도 남았지만 9천여 건에 육박했던 지난 7월 거래량과 6천 건 수준으로 예상되는 8월 거래량과 비교하면 감소세가 확연합니다. <br /> <br />뜨겁게 달아올랐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도 주춤합니다. <br /> <br />2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주간 단위 아파트 가격 상승폭은 2주 연속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대출규제 영향에다 그간 가파른 집값 급등으로 인해 부동산을 찾는 수요자들의 발길마저 뚝 끊기면서 관망세가 짙어진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3월부터 가파르게 치솟았던 서울 집값 상승폭이 상반기와 비교해 당분간 주춤해질 거란 전망에 힘이 실립니다. <br /> <br />[함영진 /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 : 가을 이사철 성수기이긴 하나 거래량과 가격의 상승폭은 둔화될 거로 판단됩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높은 상황이지만 단기급등 피로감이 누적돼 있기도 하고….] <br /> <br />이런 흐름이 이어진다면 올 연말쯤엔 서울 집값 상승 기조가 보합세로 전환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송승현 / 도시와경제 대표 : 30주 가까이 되어가는 주택가격 상승세라는 건 수요자들이 봤을 때 상당 부분 피로감이 누적돼 있고 올 연말 정도 되면 보합세로도 충분히 들어갈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….] <br /> <br />다만 이달에 추석 연휴가 껴 있던 점 등을 고려했을 때 10월 이후의 매수세 흐름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간 부동산 시장 과열로 금리 인하 시기를 저울질했던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지도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정치윤 <br />디자인 : 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92804525805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