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국무부는 30일(현지시간) 이스라엘이 레바논내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인프라 시설에 대한 제한적인 지상전을 수행하고 있음을 통보해왔다고 밝혔다. <br /> <br />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“이스라엘은 현재 국경 근처의 헤즈볼라 인프라를 겨냥한 제한적인 작전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 우리(미국)에게 통보해온 내용”이라며 “이스라엘과 지상전에 대한 대화를 해왔지만, 이스라엘은 현 단계에서 그것(지상전)은 국경 근처 인프라에게 집중한 제한된 작전이라고 했다”고 전했다. <br /> <br /> 밀러 대변인은 이어 “이스라엘은 헤즈볼라의 공격에 맞서 자신들을 지킬 권리가 있다”며 “권리에는 레바논 내부의 테러공격 인프라를 겨냥한 것까지 포함된다”고 덧붙였다. 사실상 이스라엘이 통보한 ‘제한적 지상전’에 대해 미국이 동의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. <br /> <br /> 밀러 대변인은 “지난해 10월 하마스(팔레스타인 무장 정파)의 이스라엘 기습공격 직후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고, 그 공격을 계속되고 있으며, 헤즈볼라에 의하면 앞으로도 계속될 예정”이라며 확전의 책임을 헤즈볼라에 돌렸다. 그러면서도 “우리는 궁극적으로 이 갈등의 외교적 해결을 보기를 원한다”며 전쟁의 양상이 전면전으로 확대되는 것을 경계했다. <br /> <br /> 조 바이든 대통령 역시 앞서 백악관에서 열린 허리케인 피해 대책 기자회견에서 지상전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자 “지금은 휴전을 해야 한다”며 확전에 대한 우려를 숨기지 않았다. 바이든 대통령은 또 이스라엘의 제한적 지상전 통보 사실에 대한 질문에는 “나는 당신(질문자)이 알 수 있는 수준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”며 “나는 그들이 교전을 중단해야 안도할 것”이라고 답했다. <br />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81313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