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출생,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노동시장도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죠. <br /> <br />이에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정년연장과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나섰는데,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반년 이상 일자리를 찾지 못한 '장기 실업자'가 올해 들어 청년층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1~8월,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장기 실업자는 월평균 9만858명. <br /> <br />연령대별로 보면 15~29세 청년층이 32.4%로 가장 많았고, 30대가 23.3%로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30대 이하 장기 실업자가 전체의 절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, 해법을 찾기 힘든 상황 속에 노사정 대표가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<br /> <br />핵심 주제는 미래세대를 위한 일자리 문제였습니다. <br /> <br />[권기섭 /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: 청년 세대에게 희망을 줄 수 있도록 노사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, 미래 생존 또 지속 가능한 성장을 향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.] <br /> <br />우선 노사정은 저출생 극복을 위해 근로자와 기업이 유연하게 근로시간을 선택해 활용하는 방향으로 일하는 방식을 바꿔 일과 육아의 양립을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문수 / 고용노동부 장관 :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 얻을 수 있고 또 아이 낳고 기를 수 있는 그런 일과 출생과 교육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그런 사회 만들기 위해서 힘을 합쳐서 노력한다면 못할 것이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인구구조 변화로 청년 일자리를 살리는 동시에 정년 연장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. <br /> <br />임금 체계 개편을 집중 논의한 뒤 국민연금 개편 논의에 맞춰 내년 초쯤 큰 방향을 제시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김동명 / 한국노총 위원장 : 우선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것은 빠르게 정리하고 입장 차가 큰 의제들은 대안을 제시하며 서로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합니다.] <br /> <br />다만, 저출생 극복 방안을 위한 근로시간 개편은 노사 사이 이해 관계가 첨예합니다. <br /> <br />정년 연장 역시 청년들의 일자리를 줄여 세대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만큼 합의점 도출까지 적지 않은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백종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박진우 <br /> <br />영상편집;신수정 <br /> <br />디자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백종규 (jongkyu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00623094490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