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·중 수교 75주년을 맞아 10년 전 완공된 '신압록강 대교'가 개통될 거란 보도가 잇따랐죠. <br /> <br />추측이 빗나갔을 뿐만 아니라, 중국 당국이 현판까지 철거한 사실이 YTN 취재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단둥에서 강정규 특파원의 현장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당국이 22억 위안(약 4,179억 원)을 투입해 건설한 '신압록강 대교'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4년에 완공됐는데, 10년째 개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중 수교 75주년을 기념해 개통 행사가 열릴 것이란 국내외 보도가 잇따랐지만, 보시는 것처럼 빗나갔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북·중 이상 기류 속에 개통은커녕, 현판마저 철거한 모습이 YTN 카메라에 잡혔습니다. <br /> <br />사장교 기둥 꼭대기에 한자로 '중조 압록강 대교'란 7글자가 걸려 있었는데, 얼마 전 떼어 버린 겁니다. <br /> <br />[신압록강대교 주변 상인 : (현판 철거된 거 아셨나요?) 떼어 버렸죠! 한 달쯤? 20일 남짓 됐을 거예요.] <br /> <br />현지인들은 오는 12월 1일을 개통 날짜로 꼽았지만, 이마저도 믿기 어려운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단둥 현지 택시 기사 : 진짜인지, 가짜인지 모르겠지만, 12월 1일자 통고가 있었다네요. <br /> <br />근데, 작년에도 재작년에도 뭐 5월 6일, 몇 월 며칠에 중앙에서 테이프 끊으러 올 거란 말은 많았지만, 결국 아무도 안 왔죠.] <br /> <br />북중 수교 75주년 당일인 어제 시진핑 주석과 김정은 위원장은 의례적인 축전을 교환했을 뿐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역대 2번째로 지정된 '북·중 우호의 해' 폐막식마저 감감무소식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 평양에서 열린 개막식엔 중국 권력 서열 3위인 자오러지 전인대 상무위원장이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례상 베이징에서 열릴 폐막식엔 맞상대인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답방할 차례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북한에선 오늘(7일) 최고인민회의가 열리고, 오는 10일엔 노동당 창건일도 잡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국경절 연휴와도 겹쳤습니다. <br /> <br />10월 중순 이후를 지켜봐야 한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아직 굳게 닫혀 있는 신압록강 대교 앞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00702274259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