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(OTT) 플랫폼들이 국내 소비자들만 차별하는 정책을 운영하거나, 중도 해지시 잔여 이용료를 받기까지 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(8일) 한국소비자원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실은 지난 2월 말부터 6월까지 유튜브·넷플릭스·티빙·쿠팡플레이·웨이브·디즈니플러스 등 6개 OTT 사업자의 약관 등 서비스 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 결과에 따르면 OTT 업체들은 온라인 해지를 허용하지만, 소비자들에게 즉시 중도해지 및 잔여 이용료 환불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사업자는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해지 신청을 하면 다음 결제일까지 서비스를 유지했다가 환불 없이 계약을 종료합니다. 소비자가 잔여 이용료를 환불받으려면 전화나 채팅 상담 등 별도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넷플릭스는 약관상 결제일로부터 7일이 지나면 중도 해지와 대금 환불을 해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유튜브는 한국 차별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유튜브는 미국·독일·일본·인도 등 40여 개 국가에서 가능한 '가족 요금제'를 한국에선 내놓지 않았습니다. 가족 요금제는 같은 주소에 사는 최대 5명의 가족과 계정을 공유해 유튜브 프리미엄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 학생 신분의 이용자에게 최대 60% 할인을 해주는 학생 멤버십도 다른 80여 개 국가와 달리 한국에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제에 '유튜브 뮤직'이 결부된 단일 요금제입니다. 반면 덴마크·네덜란드·핀란드 등에선 유튜브 뮤직을 빼고 광고 없이 동영상을 보는 기능만 있는 저렴한 요금제가 따로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민병덕 의원은 "유튜브 가족 요금제, 학생 요금제가 없이 같은 가족이라도 다 따로 서비스를 구독해야 하는 국가는 한국과 슬로베니아뿐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디지털뉴스팀기자ㅣ박선영 <br />AI 앵커ㅣY-GO <br />자막편집 | 최지혜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00815272991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