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를 향한 '공격 사주 의혹'에 휩싸인 김대남 전 대통령실 행정관이 대기업 감사직에 재취업한 것을 두고 낙하산 논란이 일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이 지난 5년간 대통령비서실 출신 공직자의 재취업 심사 결과를 확인해보니, 전·현 정부를 막론하고 취업하지 말라는 기관으로 소속을 옮긴 사례가 80건이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나혜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10월 대통령실을 나와 총선 출마를 준비했던 김대남 전 행정관은 국민의힘 공천에서 떨어진 뒤 서울보증보험 상임감사직을 맡았습니다. <br /> <br />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우려해 3년 동안 취업이 제한되는 기관이었지만, 공직자윤리위원회에 별도 심사를 요청해 문제없단 판단을 받아냈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에서 맡았던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없는 자리란 게 이유였는데, 총선 이후 유튜브 매체에 한동훈 대표 공격을 사주한 듯한 녹취가 공개되면서 결국, 사표를 냈습니다.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 (7일) : 김대남 씨 또는 그 관련자들이 하는 이런 행동들은 용납될 수 없는 것입니다. 필요한 경우에 법적 조치를 진행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.] <br /> <br />예상치 못한 논란으로 두 달 만에 좌절됐지만, 대통령비서실 출신 고위공직자가 취업제한 대상 기관에 재취업한 사례는 정권마다 반복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 땐 MBC 기자 출신인 윤도한 전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이 한국IPTV방송협회장으로, <br /> <br />환경운동가 출신으로 정의당 국회의원을 지낸 김제남 전 시민사회수석은 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으로 취업해 낙하산 논란에 휩싸였습니다. <br /> <br />현 정부에선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에 연루된 이시원 전 공직기강비서관이 논란 끝에 대형 법무법인으로 옮겨가는 등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82명이 취업제한 규제를 비껴갔습니다. <br /> <br />[용혜인 / 기본소득당 대표 :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하는 거 아니냐, 업무 관련성이 없고 영향력 행사 가능성이 적다는 것인데 예외 조항을 귀에 걸면 귀걸이, 코에 걸면 코걸이식으로 적용해버리면서 이 제도의 취지 자체를 전혀 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대통령비서실을 필두로 국세청과 감사원, 국가정보원 같은 사정기관 출신 공직자일수록 재취업 허가율은 100%에 수렴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 공직자윤리위의 심사를 받는 공무원 전체로 넓혀봐도 재취업 신청이 반려된 건 10명 중 1명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혜인 (nahi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101323145307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