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렇게 논술 문제 유출 논란을 두고 수험생들과 연세대 측의 주장이 극명히 엇갈리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 사태의 주요 쟁점을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휴대전화 관리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시험 당일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문제지 원본이 인터넷에 올라오면서 불거졌는데요, <br /> <br />시험지를 받은 뒤에도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었는지가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연세대 측은 학생이 자율적으로 휴대전화의 전원을 꺼 가방에 넣도록 통제했다고 밝혔죠. <br /> <br />이를 근거로 시험을 치르는 동안 문제 공유가 불가능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수험생들의 얘기는 다릅니다. <br /> <br />강제로 휴대전화를 걷어가지 않아 마음만 먹으면 감독관의 눈을 피해 가방에서 꺼내서 사용할 수 있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, 논술 시험 시작 1시간 전쯤인 오후 1시경 답안지와 시험지를 촬영한 걸로 보이는 '인증샷'이 공개되면서 이러한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학생들이 1시간 일찍 문제를 받아볼 수 있었던 이유는 일부 감독관들이 시험 시간을 착각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죠. <br /> <br />하지만 연세대 측은 문제지를 일찍 받았더라도 연습지로 덮어놓도록 통제했기 때문에 수험생이 문제를 확인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대해서도 수험생들은 반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습지를 조금만 들추면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, 어떤 학생은 12시 50분경에 문제지를 받았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늦어도 1시 10분엔 회수했다는 학교 측 입장을 고려하더라도, 최소 20분 가까이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핵심은 문제 유출로 볼 수 있느냐입니다. <br /> <br />시험 당일,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"정사각형 4개 등분되는 직사각형 그림 있다" 등의 문항의 내용을 설명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학교 측은 이런 글이 단순히 인상을 묘사한 것으로, 이것만으로 문제 전체를 파악할 수는 없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수험생들은 해당 문항은 지난해 논술고사에도 출제됐던 문제와 유사했다며, <br /> <br />간단한 설명만으로도 수험생들은 어떤 유형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유출됐고 봐야한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파장이 연일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단 연세대는 재시험은 없다고 못 박았죠. <br /> <br />하지만 이미 시험의 공정성이 훼손됐다며 수험생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 논란은 이어질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자양 (kimjy020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01508363698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