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지난 6월 북러 군사동맹 이후 기조 변화 <br />푸틴 "살상무기 지원 실수"…대통령실 "제약 없어" <br />정부, 북 파병 이후 살상무기 지원 검토 시작<br /><br /> <br />우크라이나에 비살상무기만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온 정부가 북한의 러시아 파병 이후 살상무기 지원도 적극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는데, 지원이 확정되면 155mm 포탄부터 지원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정부는 의료기기와 긴급 의약품, 발전기, 전투식량 등 비살상물자만 지원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가 지속해서 살상무기 지원을 요청해 왔지만 원칙은 한 번도 바뀌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전하규/국방부 대변인(지난해 4월 : 우크라이나와 관련돼서 저희 국방부의 (비살상무기 지원)기존 입장이 현재까지 변화된 것은 없습니다. 그렇게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기조가 변화된 건 지난 6월. <br /> <br />북한과 러시아가 군사동맹에 버금가는 조약을 체결한 직후였습니다. <br /> <br />[장호진 / 당시 국가안보실장 : 러시아가 스스로 결의안을 어기고 북한을 지원함으로써 우리 안보에 위해를 가해오는 것은 한러 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다.] <br /> <br />푸틴 대통령은 당시 한국이 살상무기를 제공한다면 실수가 될 것이라고 밝혔지만, 대통령실은 무기 지원에 법적 제약은 없다고 대응했습니다. <br /> <br />거듭된 경고에도 북한이 파병까지 감행하자 정부도 살상무기 지원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ICBM과 핵잠수함 기술 이전 등 북한의 파병에 따른 대가가 한반도 안보위협을 더 심화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 : 정부 차원에서, 또 국방부와 함께 논의해서 필요한 조치들이 검토되고 강구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지원이 확정되면 당장 사용할 수 있는 155mm 포탄과 함께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가 요청했던 항공기 요격용 중거리 지대공미사일 천궁 등이 품목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정부는 주한 러시아대사를 초치해 북한군 파병에 엄중 항의한 뒤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해 나가겠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선기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우영택 <br />영상편집 : 마영후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선기 (mk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102118321197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