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규직·비정규직 임금격차 175만 원 ’역대 최대’ <br />정규직 근로자 1,368만 5천 명…14만7천 명 감소 <br />3년 만에 정규직 근로자 감소…제조·건설업 등 <br />비정규직 근로자, 시간제 급증하며 33만7천 명 증가<br /><br /> <br />내수 부진에 정규직 근로자가 3년 만에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비정규직 비중이 38%가 넘어 역대 두 번째로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격차는 175만 원으로 역대 최대로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8월 기준 정규직 근로자는 천368만 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 7천 명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규직 근로자가 감소한 것은 2021년 이후 3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임경은 / 통계청 고용통계과장 : 제조업 부문하고 건설업, 도·소매업이나 숙박·음식업 등에서 정규직이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. 제조업의 경우에는 정규직 규모가 감소하는 반면에 비정규직이 60세 이상 남성들을 중심으로 해서 증가하는 모습들이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반면 비정규직 근로자는 1년 전보다 33만 7천 명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여성과 60세 이상, 청년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시간제 근로자가 늘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(참고 : 시간제 근로자는 같은 사업장에서 같은 일을 하는 근로자의 근로시간보다 1시간 이상 짧은 근로자를 일컫습니다.) <br /> <br />그 결과 임금근로자 2천2백여만 명 가운데 비정규직은 845만 9천 명으로 38.2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중이 1년 전보다 1.2%p 증가하면서 역대 두 번째로 컸습니다. <br /> <br />비정규직 월평균 임금은 처음 2백만 원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74만 8천 원으로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최고 격차입니다. <br /> <br />비정규직 근로자 사회보험 가입률을 보면 국민연금은 1년 만에 1%p 가까이 줄어 40%가 안 됐고 건강보험과 고용보험 가입률은 절반을 조금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이한 것은 자발적 이유로 비정규직을 선택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66.6%, 자발적 이유 가운데 근로조건에 만족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9.9%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은 청년과 고령층에서 본인이 원하는 시기에, 원하는 시간만큼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가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정치윤 <br />디자인 : 이나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2222411953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