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의 관계가 갈수록 밀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'중국 문제'가 둘 관계의 최대 변수가 되면서 결국에는 갈라설 수도 있다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는 선거 기간 내내 중국에 강경한 입장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60%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: 중국이나 다른 나라가 나쁜 짓을 한다면, 우리는 관세라는 매우 심각한 것을 부과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당선 이후 외교·안보 라인에 대중국 초강경파 인사들을 집중적으로 배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무장관에 지명된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중국에 최혜국 대우를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국가안보보좌관 지명자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은 중국을 대놓고 '중국 공산당'이라 부르며 미국과 중국이 냉전에 돌입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상무장관에 발탁된 하워드 러트닉 인수위원회 공동위원장도 '표적 관세'를 선호하며 중국과도 거래를 원한다는 의견을 밝혀왔습니다. <br /> <br />머스크의 입장은 좀 다릅니다. <br /> <br />테슬라는 중국 상하이에 대규모 공장을 두고 있고, 중국 내 매출이 전체 매출의 23%를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도 반대합니다. <br /> <br />[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: 중국에서 전기차가 성장하고 있는 걸 보니 좋습니다. 미래 차는 모두 전기차가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 때문에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정책과 관련해 가장 큰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에서는 머스크가 미중 관계를 정상화했던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과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습니다. <br /> <br />반대로 자기 주장이 강한 두 사람이 충돌할 것이란 의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스티브 창 SOAS 중국연구소장 :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를 위해 일 하도록 초대받은 손님일 뿐입니다. 트럼프에게 최선인 것과 머스크에게 최선인 것 사이에서는 언제나 트럼프가 승리합니다.] <br /> <br />뉴스위크는 머스크와 중국과의 관계가 트럼프와의 관계, 또 내각에서의 입지를 해치며 두 사람이 결별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영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임현철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영희 (kwony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2301203380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