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한항공·아시아나항공 합병이 최종 관문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최종 승인이 이뤄진 건데 사실상 합병 절차가 마무리되면서 두 항공사 합병으로 인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럽연합 집행위원회, EC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을 최종 승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 4개 노선의 여객 이관 요건이 충족됐다고 판단한 데 이어 이번엔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 매각 요건까지 충족했다고 판단한 겁니다. <br /> <br />대한항공 측은 미국 법무부에 EC의 최종 승인 내용을 보고했다며, 올해 안에 최종 거래종결 절차를 매듭짓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법무부가 별도로 독과점 소송을 제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, 사실상 기업결합 심사가 마무리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대한항공이 지난 2020년 11월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정한 지 약 4년 만의 일입니다. <br /> <br />두 항공사가 완전한 합병을 이루는 데에는 2년이 추가로 더 걸릴 전망인데 각자 브랜드로 운영하면서 인력 재배치 작업 등을 거친 뒤 통합 대한항공으로 출범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합병 후엔 글로벌 10위권 초대형 항공사로 거듭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른 원가 절감 등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[김대종 /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: 우리가 석유를 100% 수입하는 국가인데 대한항공, 아시아나가 석유를 대량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구매에 대한 경쟁력을 가질 것입니다. 대형항공사가 생겨서 여객과 화물에 경쟁력을 가지는 것이고….] <br /> <br />다만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중복되는 인력의 재배치 과정에서 내부 반발을 최소화해야만 합니다. <br /> <br />양사의 마일리지 제도 통합 과정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비율을 어떻게 할지를 놓고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도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양사 합병에 따른 '통합 저비용항공사(LCC)'가 출범할 경우 국내 LCC 업계 판도도 크게 출렁일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정치윤 <br /> <br />디자인;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2900270624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