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제(1일)가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플라스틱 협약 협상 마지막 날이지만, 아직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협약 내용에 '플라스틱 생산 감축'을 빼려는 산유국과, 그럴 거면 협약을 안 하는 게 낫다는 감축 지지 국가들의 갈등 속에, <br /> <br />주최국인 우리나라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장아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해의 거친 파도 위, 환경운동가들이 유조선 기둥 꼭대기에 몸을 매답니다. <br /> <br />선체에는 '플라스틱은 죽인다'는 문구를 썼습니다. <br /> <br />[리사 램스덴 / 그린피스 활동가 : 고삐 풀린 플라스틱 생산을 줄일 수 있는 강력한 플라스틱 협약을 마련하기 위한 이 세대에 한 번뿐인 기회를 잡기 위해….] <br /> <br />이들이 나선 건, 2022년 시작한 플라스틱 협약의 종착역인 부산 회의가 지지부진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한 해 지구에 생산되는 플라스틱은 5억 톤. <br /> <br />생산량부터 줄이지 않으면 1분에 15톤 쓰레기 트럭 한 대 분량씩 바다로 흘러들어 가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일 방도가 없다는 게 협약을 추진하는 나라들의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1차 플라스틱 폴리머 생산부터 제한하자는 내용에 100여 개 나라가 동의했지만, 산유국의 반대가 거셉니다. <br /> <br />[압둘라만 알가와이즈 / 사우디아라비아 수석대표 : 특정 당사자가 이런 조항에 대해 유연하다면 합의에 도달하는 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. 우리는 제안을 수용할 수 없습니다. 아랍을 대신해 말씀드리는데, 이 제안에 대한 합의는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주최국이지만 미국, 중국, 사우디아라비아, 인도와 함께 5대 플라스틱 폴리머 생산국에 속하는 우리나라도 '생산 감축'과 '유해물질 퇴출' 제안에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플라스틱 폐기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태평양 연안 국가들은 허울뿐인 협약을 맺느니, 아예 협약을 무산시켜야 한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[시벤드라 마이클 / 피지 환경기후변화부 상임비서 : 만약 '생산 감축' 조항이 없거나 '야심 찬 조약' 체결을 기대할 수 없다면, 우리는 다자간 절차로 돌아가서 '야심 찬 조약'을 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할 것입니다. 아무도 '약한 조약'을 가지고 부산을 떠나지 않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첨예한 갈등 속에 플라스틱 협약 회의가 어떤 결론을 낼지, 세계가 지켜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장아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최연호 <br /> <br />디자인;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장아영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20201095635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