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이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 품목인 고대역폭 메모리를 중국에 팔지 말라고 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정부는 영향이 적다고 했지만 중국에 고대역폭 메모리를 수출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일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재 전 세계 고대역폭 메모리 시장의 95%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공지능 가속기와 훈련에 필수적인 고성능 메모리로 우리 반도체 기업의 주력 수출 품목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HBM 원천 기술을 가진 미국이 중국에 팔지 말라고 통제하면서 영향이 불가피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SK하이닉스는 대부분을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어 여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반면 삼성전자는 HBM 매출의 20%가량이 중국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일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5세대 HBM 개발에 뒤처진 점이 또 한 번 뼈아픈 대목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주완 / 인더스트리 애널리스트 : (삼성전자는) 저가인 2세대, 3세대 제품 비중이 높아서 그 제품들이 중국으로 납품되고 있었는데요. 이 물량이 급격하게 축소되는 좋지 않은 효과가 나타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장기적으로 세계 HBM 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종환 / 상명대 시스템반도체학과 교수 : AI 반도체가 지속해서 생산량이 많아지고 확대가 돼야 하는 상황이니까 중국으로의 수출도 계속 예상되거든요.] <br /> <br />정부는 미국의 이번 조치가 국내 업계에 미칠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HBM을 중국에 직접 수출하는 경우에만 해당하고 로직칩 등과 함께 패키징된 제품은 포함되지 않는다며 <br /> <br />미국 규정이 허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반도체 장비 추가 수출 통제 역시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미국 정부와 양국 기업이 예상치 못한 피해를 보지 않도록 노력하기로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아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이은경 <br />디자인 : 이원희 전휘린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아영 (cay24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0316040021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