헬리콥터 부모. <br /> <br />청소년 자녀의 머리 위를 맴돌며 모든 일에 간섭하는 부모를 뜻하죠. <br /> <br />이젠 성인이 된 직장인 자녀의 회사 생활까지 개입한다고 해서 '뉴 헬리콥터 부모'란 신조어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"아들이 학원에 가야 하니 야근 좀 빼달라" "사표는 아빠인 내가 대신 써서 내겠다" "우리 애가 힘들어하니 다른 부서로 바꿔 달라" <br /> <br />실제로 기업 인사팀에 걸려오는 전화 내용이라고 합니다. <br /> <br />신입사원 채용 면접 때 부모가 따라와 대기실에 같이 들어가려는 일은 공채 때마다 벌어진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한 일간지가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, <br /> <br />국내 100대 기업 인사담당자 35%가 직원 부모나 가족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적이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연락한 이유의 80%가량은 '문의'였는데 부서 이동, 급여, 휴가 등 다양한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"우리 애 F학점 철회해달라"는 등의 항의 전화가 빗발쳐서 대학 교수들이 휴대전화 번호를 감춘다는 얘기는 많이 알려졌는데요. <br /> <br />이젠 직장인이 되어서도 부모에 의존하는 '어른이 캥거루족'이 늘어난 것이죠. <br /> <br />그런데, 이제는 '헬리콥터 양육'이 손주 세대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비를 대신 내주고, 손주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'헬리콥터 조부모'의 이야깁니다. <br /> <br />최근 5년간 조부모가 미성년 손주에게 직접 증여한 건수는 2만7천 건 정도, 건당 평균 증여 액수는 1억4천만 원입니다. <br /> <br />자녀가 어른이 된 뒤에도 계속 돕는 이유에 대해서 아직 걱정되고 불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는데요 <br /> <br />자신만큼의 사회·경제적 안정을 이루기를 바라는 심리적 요인에 더해, 저성장 시대가 되면서 불안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홍현주 / 한림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: 조부모님 세대에서 경제적으로 많이 이루신 분들은 자녀와 손주들도 이것을 같이 누리길 바라는데 지금은 저성장기이다 보니까 충족이 되지 않고 염려가 되어서 뭐라도 해주고 싶은 마음이….]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하린 (lemonade010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20316555092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