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란이 그동안 후원해온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의 붕괴로 70조원이 넘는 돈을 떼일 위기에 처하면서 국내 여론도 들끓고 있다고 영국 더타임스 일요판인 선데이타임스가 15일(현지시간)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데이타임스는 시리아 야권에서 입수한 정부 문서를 인용해 시리아가 이란에 갚아야 할 채무가 500억달러(약 71조7천300억원)에 달한다면서 아사드 정권의 붕괴와 함께 이란은 시리아를 잃었을 뿐 아니라 막대한 채권도 회수하기 힘든 상태에 빠졌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데이타임스가 전한 시리아 정부 문서에 따르면 이란 외무부 중동·북아프리카국은 지난 2021년 보고서에서 이란에 대한 시리아의 채무가 500억달러를 넘을 것이라면서 아사드 정권 붕괴 시 채권 회수가 힘들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무부는 2022년 보고서에서도 시리아의 경제 약화로 채권 회수가 "매우 어렵고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"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모하마드 모흐베르 이란 부통령 역시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에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시리아 국영 기업과 인산염 광산, 지중해 항구 라타키아의 지분 요구를 통해 투자금의 일부를 돌려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데이타임스는 시리아 의회가 지난해 이란과 채무협정을 체결했으나 현시점에서 시리아의 채무 상환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데이타임스는 승리한 시리아 반군이 러시아 대사관은 손대지 않았지만, 이란 대사관은 약탈하도록 놔둔 점을 지적하면서 양국의 미래 관계가 순탄치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아사드 정권의 잔인한 탄압을 도운 이란에 대한 시리아 국민의 정서도 좋지 않고 경제도 붕괴한 상태여서 시리아가 이란에 대한 부채를 상환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고 선데이타임스는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데이타임스는 시리아의 붕괴와 이에 따른 손실에 대한 경고가 수년 전부터 나왔음에도 막대한 손실 우려가 현실화 조짐을 보이자 이에 대한 이란 내 비판 여론도 거세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AI앵커 : Y-Go <br />자막편집 : 정의진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1616575383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