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리아 바샤르 정권 붕괴 이후 이스라엘이 시리아 내 완충지대에 병력을 진입시킨 가운데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 지역을 직접 방문해 장기 점령 계획을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시간 17일 월스트리트저널(WSJ)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와 카츠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이 시리아 영토 내 비무장 완충지대의 헤르몬산 정상에 올라 이곳에 배치된 자국 병력에 방어 시설을 구축하고 장기 주둔에 대비하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카츠 장관은 이곳에서 헤르몬산을 시리아 내 동향을 감시할 수 있는 '이스라엘의 눈'이라며 주둔의 의미를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은 시리아 반군이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축출하고 승리를 선언한 뒤 북부 점령지 골란고원 경계를 넘어 시리아 영토 안쪽 비무장 완충지대까지 병력을 진입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이 일대에서 가장 높아 주변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헤르몬산 정상에도 병력을 배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과 시리아가 1974년 휴전한 뒤 이스라엘군이 시리아 안쪽까지 진입한 것은 50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완충지대 병력 주둔 이유에 대해 카츠 장관은 앞서 "시리아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인해 헤르몬산 봉우리를 지키는 것이 안보적으로 매우 중요해졌다"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총리와 국방장관이 직접 헤르몬산을 방문해 장기 주둔에 대비하라고 지시하면서 점령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시리아 반군과 국제사회는 이스라엘군이 엄연한 시리아 영토를 국제규약까지 위반하면서 점령하려고 한다는 데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새 정권 수립을 주도하는 시리아 반군 하야트타흐리르알샴(HTS) 수장 아메드 알샤라(가명 아부 무함마드 알졸라니)는 시리아TV 인터뷰에서 "이스라엘이 시리아에서 경계선을 분명히 넘어와 역내에 부적절한 긴장 고조의 위협이 된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"시리아는 수년간 이어진 갈등과 전쟁으로 지쳐있고 새로운 갈등을 벌일 여유가 없다"며 "현재 단계에서는 재건과 안정이 우선순위로 추가적 파괴로 이어질 분쟁에 끌려가지 않고자 한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 등 국제사회도 이스라엘이 시리아의 영토 주권을 침해했으며 이스라엘과 시리아의 1974년 휴전협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스라엘은 전쟁으로 점령한 시리아 골란고원의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재출범을 앞두고 그런 비판을 전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영희 (kwony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21814493723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