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는 본격적인 수색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류품 수색과 함께 희생자들의 신원 확인 작업도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참사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기수 기자! <br /> <br />현장 상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사고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날이 밝으면서 한 시간 전과는 다르게 수색 인력이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서 유류품 수거 작업 등 본격적인 수색 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고로 탑승객 181명 가운데 구조자 2명 외에 나머지 179명이 모두 숨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구조된 2명은 남녀 객실승무원으로, 기체 꼬리 쪽에서 구조돼 서울에 있는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가운데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낸 사고로 남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국토부가 참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에 나섰죠? 어떤 부분을 조사할 예정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국토교통부는 오늘 사고 항공기의 블랙박스, <br /> <br />비행기록장치와 음성기록장치를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로 옮겨 분석이 가능한지 확인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비행기록장치는 비행경로와 각 장치의 작동상태를 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음성기록장치는 조종실 내에서 승무원들이 나눈 대화와 각종 경보음, 교신 내용 등을 기록합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두 장치는 사고 원인을 규명할 핵심 단서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일부에서는 비행기록장치의 훼손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훼손이 심하면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에 조사를 맡겨야 하는데, 그러면 해독작업에만 6개월이 넘게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두 장치의 해독 작업이 늦어질 경우 전체 조사 과정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랜딩기어 미작동이나 조류 충돌 등 정확한 참사의 원인이 불분명한 상황에서 제주항공 여객기의 블랙박스가 분석 가능한 상태인지, 오늘 점검 결과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사고 원인에 대한 엄정한 조사와 함께 이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 유가족들에게 알려주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유사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항공안전체계를 전반적으로 점검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잠시 뒤인 오전 10시 반에는 중앙안전대책본부의 합동 브리핑이 진행될 예정인데, 앞으로의 사고 수습 과정에 대한 내용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기수 (energywater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123009504788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