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참사로 탑승객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한 가운데, 사고 피해를 키운 주요 요인으로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종단 인근의 콘크리트 재질 둔덕이 지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당시 여객기는 착륙 중 활주로를 벗어나는 ‘오버런’ 상황에서 로컬라이저(착륙 유도 장치)와 둔덕에 부딪혔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로컬라이저는 흙으로 쌓은 높은 둔덕 위에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 구조물로 구성돼 있었고, 여객기는 이 구조물과 정면으로 충돌하며 대규모 참사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교통부에 따르면, 해당 둔덕은 활주로와 지면 간 수평을 맞추기 위해 설치됐으며, 로컬라이저 기초 구조물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지반 위로 약 7cm 튀어나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공항안전운영기준에 따르면 구조물이 7.5cm 이상 높지 않고 쉽게 부서질 수 있도록 설치돼야 하지만, 무안국제공항의 로컬라이저는 안전구역 바깥에 위치해 해당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외국 전문가들은 둔덕과 로컬라이저의 위치와 설계가 사고 피해를 악화시켰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 항공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“활주로 끝에 단단한 구조물이 있다는 것은 사실상 범죄에 가깝다”며 “비행기가 둔덕과 충돌하면서 거의 즉시 파괴됐다”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오버런 사고에서 이처럼 단단한 구조물을 본 적이 없다고도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항공 전문가 샐리 게틴은 둔덕과 로컬라이저의 위치가 사고 원인으로 지목될 수는 있지만, 활주로 끝에 더 많은 공간이 있었다 해도 사고를 피하기는 어려웠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국제공항의 경우, 활주로 종단 너머를 수평으로 정리하고 둔덕 없이 로컬라이저를 설치해 유사한 사고에서도 피해를 최소화한 사례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16년 UPS 화물기가 인천공항에서 오버런 사고를 일으켰을 때, 로컬라이저와 충돌에도 불구하고 모든 승무원이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항공업계 관계자는 “오버런 사고를 대비해 로컬라이저는 비행기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돼야 한다”며 “둔덕 대신 철골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”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고를 계기로 공항 안전 설비의 설계와 규정 준수 여부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AI 앵커ㅣY-GO <br />자막편집 | 이 선 <br />화면출처ㅣX@fli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3016341667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