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고 원인을 밝혀줄 블랙박스의 일부 부품이 분실상태로 확인돼 복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국토부의 설명과 달리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설치 상태가 설치 매뉴얼 기준에 맞지 않다는 문제가 확인됐는데요,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김기봉 기자! <br /> <br />일단 블랙박스 상태부터 설명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어제 서울로 블랙박스를 옮긴 조사팀은 블랙박스를 세척해 상태를 확인했는데, 비행기록장치에 문제가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비행기록장치의 정보 보관 유닛과 전원 공급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분실된 상태라고 국토부는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커넥터는 일종의 연결선으로 크기가 작아 현장에서 찾기 어려운데, 일단 이 커넥터가 없이 정보 추출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하나의 블랙박스인 음성기록장치의 상태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국토부는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국내 사고 조사관 11명과 미국 합동조사관 8명이 사고 현장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엔 미 연방항공청 소속 1명과 교통안전위원회 소속 3명, 그리고 보잉사 직원 4명이 포함돼 있는데, 구체적인 인적사항과 개별 전문 분야를 공개할지를 놓고 본인들과 논의하겠다고 국토부는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초 1일 새벽까지 폐쇄하기로 했던 무안공항은 7일까지 폐쇄 기간을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리고 항공기가 부딪친 로컬라이저 시설의 문제점이 많이 거론되는데, 여기에 대한 설명은 없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활주로에서 너무 가까운 곳에 단단하고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돼 있어 피해를 키웠다는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는데, 국토부는 일단 설치 규정상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공항시설법의 세부지침에는 '공항부지에 있고 장애물로 간주되는 모든 장비나 설치물은 부러지기 쉬운 받침대에 장착해야 한다'라고 규정돼 있지만,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밖의 시설물인 로컬라이저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는 종단안전구역 밖에 설치되는 구조물이어서 해당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국토부의 이런 주장에 대한 강력한 반박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의 항행안전시설보호업무매뉴얼 이착륙장 설치 기준에는 정밀접근활주로의 경우, 로컬라이저가 설치되는 지점까지 활주로 종단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3114454577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