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여객기 참사 피해를 키운 큰 원인의 하나로 지목되는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문제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설치 규정에 문제가 없다던 국토부의 설명과 달리 설치 매뉴얼 기준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강력히 일자 국토부가 답변 보류로 입장을 바꿨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김기봉 기자! <br /> <br />로컬라이저 설치 기준 위반 의혹 논란,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로컬라이저 시설물에 대한 논란은 이번 사고 이후에 계속 나왔는데요, 오늘 오후 진행된 마지막 브리핑에서 국토부는 관련된 모든 질문에 즉답을 피하며 추후로 돌렸습니다. <br /> <br />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설치가 규정을 위반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국토부는 관련 규정을 더 확인해보겠다며 한발 물러선 것인데, <br /> <br />설치 규정상에는 문제가 없다던 오늘 오전까지의 입장에서 바뀐 것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 오전까지 국토부는 공항시설법의 세부지침을 들어 '공항부지에 있고 장애물로 간주되는 모든 장비나 설치물은 부러지기 쉬운 받침대에 장착해야 한다'라고 규정돼 있지만,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밖의 시설물인 로컬라이저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국토부의 항행안전시설보호업무매뉴얼 이착륙장 설치 기준에는 정밀접근활주로의 경우, 로컬라이저가 설치되는 지점까지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을 연장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의 길이를 결정할 때는 활주로 이전에 착륙하거나 지나치는 경우를 충분히 아우를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하는데, <br /> <br />로컬라이저가 통상 첫 번째 장애물이 되기 때문에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은 이 시설까지 연장해야 한다라고 명기돼있는 사실이 밝혀지자 입장을 바꾼 것입니다. <br /> <br />원래 로컬라이저의 안테나는 활주로와 고도가 동일해야 하는데, 무안공항의 경우 활주로가 끝난 뒤 아래로 땅의 경사가 져 있는데 충분한 복토를 하지 않은 채 250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갑자기 수평을 맞추려다 보니 2미터 높이의 콘크리트 둔덕을 세운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설치에 문제가 있다는 결론이 나올 경우, 공항 설계자에게도 직접적인 책임이 따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네, 사고 경위를 밝혀줄 블랙박스 조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두 개의 블랙박스 가운데 일단 음성기록장치에서는 정보 추출을 시작했다고 국토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3118355373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