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상계엄령 후폭풍 속에 한덕수 총리가 어제(3일) 역대 최장수 총리라는 기록을 세웠지만, 직무 정지 상태에서 내란 관련 수사까지 받는 처지라 그 의미는 퇴색했습니다. <br /> <br />총리 공백을 메워야 할 국무회의에선 정치 쟁점에 대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결정을 두고 갈등을 빚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종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 내각의 초대 수장이 된 한덕수 총리. <br /> <br />지난달 27일 국회의 탄핵 소추로 직무가 정지된 이후 총리관저에 머물며 두문불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는 사이 재임 기간 959일을 넘기면서 1987년 민주화 이후 최장수 총리가 됐지만, 지금 처지를 생각하면 빛바랜 기록일 뿐입니다. <br /> <br />한 총리는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있어서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의 변론 때나 '내란 사태' 관련 소환조사 때나 모습을 볼 수 있을 듯합니다. <br /> <br />[한덕수 / 국무총리 (지난달 11일) : (수사기관의 소환 조사엔 응할 계획이십니까?) 법률적 절차, 수사 절차에 따라서 잘하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끄는 내각은 갈등 상황을 노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발단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여당의 반대를 무릅쓰고 헌법재판관 2명을 임명한 것에서 비롯됐습니다. <br /> <br />[최상목 / 대통령 권한대행 (지난달 31일 국무회의) : 더 이상 갈등과 대립의 혼돈이 지속해서는 안 됩니다. 서로 조율하고 타협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국무회의 참석자 상당수가 사전에 상의하지 않은 일방적 결정이라며 거세게 항의했고, 김태규 방송통신위원장 직무대행은 사직서까지 제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상목 대행은 국정 안정과 경제 불안 우려 해소를 줄곧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상 초유의 대통령과 총리 동시 공백 상태에서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가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종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김지연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종구 (jongkun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5010422582564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