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에 금리 인하를 압박했지만, 연준은 이에 따르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준이 물가 관리와 독립성 유지에 강한 의지를 보여 금리 인하 확률은 낮다는 전망과 함께 금리 인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선 레이스 때부터 최근 다보스 포럼까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줄기차게 금리 인하를 압박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금리를 즉시 내리라고 요구하겠습니다. 전 세계적으로 금리가 내려가야 합니다. 우리를 따라 내려야 합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는 금리가 많이 떨어져야 한다며 적절한 시기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과 대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파월 의장은 트럼프 2기 정책에 따른 물가 불안을 우려하고 있어 트럼프의 연준에 대한 영향력 행사는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제롬 파월 /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(지난달) : 금리 조정은 신중해야 합니다. 긴축을 너무 서두르거나 완화하면 인플레이션 개선에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미국 대통령이 연준 인사들을 압박할 수 있는 권한이 제한적인 만큼, 금리 인하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분석합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클 랜즈버그 / 개인 자산 관리업체 최고 투자 책임자 : 트럼프의 금리 인하 희망과 연준 업무엔 괴리가 있습니다. 연준이 올해 금리 인하를 2번은커녕 안 할 수도 있어요.] <br /> <br />자산 운용사 핌코는 "연준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명확해질 때까지 금리를 동결하거나 올릴 수 있다"고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트럼프의 발언이 나올 때마다 뉴욕 증시는 물론, 달러 가치, 국제 유가, 금값, 비트코인 가격은 출렁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 전문가들은 특별한 발언이 아닌 데도 트럼프 대통령의 일거수일투족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아직 환경 변화에 투자자들이 적응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 : 최고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12508274732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