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양은 11년 주기로 활동이 왕성하다가 잠잠해지기를 반복하는데 올해가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'태양 극대기'에는 강력한 폭발 현상이 일어나면서 지구에 큰 피해를 줄 수도 있어서 과학계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준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밤하늘이 온통 붉고 영롱한 빛으로 물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21년 만에 가장 강력한 태양폭풍이 지구에 불어닥치면서 세계 곳곳에서 화려한 오로라 현상이 관측된 겁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올해는 태양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여서 더 넓은 지역에 강한 빛깔의 오로라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11년마다 반복되는 태양 극대기에는 신비한 자연현상보다 피해 예방에 주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태양의 자기장이 강해지고, 흑점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강력한 폭발 현상이 발생하는데, <br /> <br />이때 태양에서 분출된 엄청난 양의 고에너지 입자와 플라즈마가 지구 자기장을 교란하면서 인류에 큰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으로 인공위성이 손상되거나 무선 통신과 GPS가 고장을 일으킬 수 있고, 우주인과 비행기 조종사가 방사능에 피폭될 우려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지난 2003년 강력한 태양 폭풍이 지구를 강타하면서 세계 곳곳에서 정전과 변압기 폭발 사고가 잇따랐고, <br /> <br />지난 2022년엔 민간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가 쏘아 올린 위성 40개가 무더기로 추락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곽영실 /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: 대기 밀도가 평소에는 물에서 걷는 것처럼 느껴진다면, 지자기 폭풍이 발생할 때는 진흙에서 걷는 느낌으로 위성이 날 때 방해를 받기 때문에 결국은 제 궤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추락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.] <br /> <br />피해 예방을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AI를 활용해 태양 폭풍이 지구를 강타하기 30분 전, 미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 경보를 울릴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도 태양 활동을 24시간 감시하면서 우주전파재난 위기경보를 4단계로 구분해 예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엔 지난해 지구를 강타한 지자기 폭풍의 원인과 물리적 메커니즘을 분석해 우주 날씨 변화의 예측력을 한층 높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곽영실 /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: 올해 더 강력하고 빈번하게 발생할 수도 있는 지자기 폭풍, 즉 우주날씨 변화에 좀 더 대비할 수 있는 좋은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전준형 (jhje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5012604502124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