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을 시작하면서 당사국 우크라이나와 유럽을 배제해 불만이 커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트럼프 행정부의 밀어 붙이기식 외교로 미국과 동맹국들 사이에 균열이 포착되자 중국이 그 틈을 파고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 회담을 놓고 핵심 동맹국인 유럽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세 폭탄을 들이대고, 영토 보전 원칙도 무시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성 가득한 외교에 불만이 쌓여가는 겁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여러 나라를 설득하는 다자 외교 보다는 일대일 정상외교를 선호하는 편. <br /> <br />이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에서 미국의 목소리는 부쩍 작아졌고, 국제 사회가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는 다자 외교 체제 역시 위기를 맞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황준국 / 주유엔 대사 : 그동안의 성취를 자랑스럽게 여기는 동시에 다자주의에 대한 공동의 신념이 흔들리는 현실을 마주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 틈을 놓칠세라 중국은 유엔 안보리에 왕이 외교부장을 보내 미국 대신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[왕이 / 중국 외교부장 : 한때 가자와 요르단강 서안은 모두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고향이었으며, 정치적 거래의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.] <br /> <br />미국 우선주의에 지친 동맹국들과 미국 간 균열을 중국이 파고들고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[윌리엄스 홀스테인 / 해외기자클럽재단 명예 이사장 : 미국 스스로 규칙 기반의 국제 질서를 무너뜨리게 됩니다. 중국은 이를 이용하려 하고, 한국은 곤경에 처하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이 때문에 중국을 마주한 한국의 외교적 역할을 트럼프 행정부에 확실히 인식시켜 지렛대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 전문가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사태를 관망하면서도 다자 외교 무대에서 미국의 공백을 채우며 한반도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하는 중국의 행보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21910581401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