홈플러스가 기습적으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, 1조 원대 대출을 내줬던 금융권에도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금융사와 금융당국은 담보가 충분해 대규모 손실을 떠안을 상황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사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형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금융권이 홈플러스 측에 내준 대출액은 1조 4천억 원대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가장 많은 부담을 지고 있는 곳은 메리츠금융입니다. <br /> <br />메리츠화재와 증권, 캐피탈까지 3사가 내준 대출액은 무려 1조 2천억 원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과 신한, 우리 등 은행권 대출 잔액은 천억 원대입니다. <br /> <br />대출 규모만 보면 위험해 보이지만, 담보 가치를 계산하면 얘기가 달라집니다. <br /> <br />홈플러스 가진 부동산 등 유형자산 가치가 5조 원 안팎으로 평가받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1조 원대 대출을 내준 메리츠조차 원리금 회수를 자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메리츠금융 관계자 : 부동산 담보를 1순위로 갖고 있기 때문에 신탁 전혀 문제가 없어 회수에는 전혀 문제없습니다.] <br /> <br />금융당국도 홈플러스 사태 여파가 금융권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거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복현 / 금융감독원장 (지난 5일) : 유통업의 특성상 또 다양한 부동산 자산들이 있기 때문에 거기에서 담보되는 그런 가치가 있어서 대규모 손실을 금융권에서 예상하거나 이럴 상황은 아닌 것 같고….] <br /> <br />다만 '티메프' 사태 때처럼 대금 정산 문제로 협력업체 피해가 커지지 않을지 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법원도 협력업체 보호를 위해 홈플러스가 가진 3천억 원대 상거래채권을 먼저 갚을 수 있도록 허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은행 등 일부 은행은 홈플러스 협력업체에 최대 5억 원에 달하는 긴급 자금 지원을 결정하며 피해 최소화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정치윤 <br /> <br />디자인:임샛별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30720474667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