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발표일이 이제 열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4월 2일부터 모든 나라가 예외 없이 적용되겠지만, 이후 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각국의 협상전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권준기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로 예고한 상호관세 원칙은 다른 나라가 미국에 부과한 관세를 똑같이 적용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국가별로 관세율이 다르겠지만, 예외는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21일) : 많은 사람들이 제게 묻습니다. (상호관세) 예외가 있냐고요. 그런데 한 명한테 해주면 모두에게 해줘야 합니다.] <br /> <br />FTA 체결로 관세가 제로에 가까운 우리나라는 부가가치세와 각종 수입 규제를 문제 삼아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관세가 미국의 4배라고 주장하고 있어 더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관세의 '유연성'도 내세우고 있는 만큼 4월 2일 이후엔 관세율 조정을 위한 협상이 분주하게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(지난 21일) : 제가 변했다지만 저는 변하지 않습니다. '유연성'이라는 단어가 중요합니다. 유연성이 있을 것입니다. 다만 상호성이 원칙입니다.] <br /> <br />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잇따라 미국을 찾은 통상교섭본부장관 산업부 장관도 향후 이어질 협상을 염두에 두고 트럼프 행정부와 소통 창구를 확보하는 데 주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안덕근 / 산업부 장관 :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은 단판 승부가 아닙니다. 미국 정부와 지속적으로 신뢰를 쌓아가며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과….] <br /> <br />여기에 자동차와 반도체에 대한 별도 관세와 특별히 높은 관세 장벽을 가진 이른바 '더티 15' 국가 발표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미국 업계가 한국에 요구한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압박도 현실화할 수 있어 외교 통상 당국의 미국 방문은 4월부터 더 잦아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안홍현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준기 (j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32306160407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