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일(24일)부터 토지거래허가제가 확대 시행되면서 들썩이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다시 급감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주변 지역으로의 '풍선 효과' 우려 속에 중장기적인 집값 하락은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반응입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20년 처음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된 이후 규제 지역 거래량은 뚝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아파트 거래량은 직전 2년과 비교해 무려 80% 넘게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청담동과 대치동, 삼성동 등 나머지 지역도 사정은 비슷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거주가 아닌 투기성 수요가 모두 사라졌기 때문인데 이번에도 그 효과는 비슷하거나 더 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: 갭 투자가 불가능한 만큼 거래량은 크게 줄 것으로 예상이 되고요. 가격도 단기적으로 조정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」 <br /> <br />하지만 이미 한 차례 자극을 받은 아파트 가격이 추세적인 하락으로 전환될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학군이나 교통 등 강남 지역의 입지적 강점을 좇는 이른바 '상급지 갈아타기' 수요가 여전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토지거래허가제 시행 이후 해당 지역 아파트의 3.3㎡당 가격은 5년 뒤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안정적인 투자처로 아파트의 인기는 식지 않은 가운데 대출 금리는 내려가고 신규 공급은 줄어든 상황! <br /> <br />따라서 이번 규제가 서울 마포구와 성동구, 강동구 등 주변 지역으로 수요를 퍼뜨리는 '풍선 효과'만 일으킬 거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규정 / 한국투자증권 부동산 전문위원 : 기타 지역으로의 풍선 효과나 혹은 하반기 대출 규제 강화를 염두에 둔 선행적인 투자심리의 작동이나 거래 움직임은 당분간 크게 억제되기 좀 어려울 거로 보입니다.」 <br /> <br />특히 한 달여 만에 온탕과 냉탕을 오간 이번 토지거래허가제 사례처럼 부동산 정책의 장기적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이상, 주택시장 혼란은 당분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이은경 <br />디자인 : 우희석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민 (tm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32322085421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